산후관리 서비스

정부지원바우처

  • HOME
  • 산후관리 서비스
  • 정부지원바우처
바우처 서비스 안내

추진근거

  • 「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권 관리에 관한 법률」
  • 「저출산 · 고령사회기본법」 제8조 내지 제10조
  • 「모자보건법」 제15조의18

사업목적

  • 출산가정에 건강관리사를 파견하여 산모의 산후회복과 신생아의 양육을 지원하고, 출산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
  • 산모 · 신생아 건강관리사 양성을 통해 사회적 일자리 창출

지원대상

  • 산모 또는 배우자가 생계 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또는 차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출산가정
  • 보건복지부가 제시한 ‘건강보험료 산정기준표’에 따라 신청 가구의 최근 건강 보험료 본인부담금이 가구원수 별 기준 금액 이하일 때 '적합'판정
  • 시/군/구 보건소에서 산모 가구의 소득증명자료를 바탕으로 지원여부 결정
  • 단,시·도별로 예산의 범위내에서 소득기준(기준 중위소득 150%)을 초과하더라도 별도 소득기준을 정해 지원가능

예외지원 가능 해당자 : 희귀질환·중증난치질환 산모, 장애인 산모 또는 장애신생아, 쌍생아 이상 출산 가정, 셋째아 이상 출산 가정, 새터민 산모, 결혼이민 산모, 미혼모 산모, 둘째아 이상 출산가정, 분만취약지 산모

지원내용

  • 산모 · 신생아 건강관리사가 일정 기간 출산가정을 방문하여 산후관리를 도와주는 산모 ·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이용권 지급

신청장소

  • 산모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시 · 군 · 구 보건소
  • 온라인 신청 : 복지로(www.bokjiro.go.kr)

신청자격

  • 국내에 주민등록 또는 외국인 등록을 둔 출산 가정
  • 단, 부부 모두가 외국인 경우 당해 외국인은 국내 체류자격 비자(사증) 종류가 F-2(거주), F-5(영주), F-6(결혼이민)인 경우에 한함

신청기간

  • 신청기간 :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 임신 16주 이후 발생한 유산, 사산인 경우 확인일로부터 30 이내 신청
    (의사 소견서, 확인서 또는 사산(사태)증명서 첨부)
  • 미숙아, 선천성 이상아 출산 등으로 입원한 경우에는 신생아의 퇴원일로부터 30일 이내 신청 출산 후 입원 확인서 또는 진단서(입. 퇴원일 명시) 첨부

유효기간

  • 출산일로부터 60일 이내
  • 바우처 잔량이 있는 경우라도 출산일로부터 60일이 경과하면 바우처 소멸

서비스 비용

  • 서비스 총 가격 : 보건복지부가 정한 상한선 범위 내에서 개별 제공기관이 자율적으로 서비스 가격 책정
  • 정부지원금 : 소득수준 및 신생아 유형에 따라 차등 지원
  • 본인부담금 : 서비스 총 가격에서 정부지원금을 뺀 차액

본인부담금 납부

  • 시/군/구 보건소를 통해 확정결정 통지를 받은 후 제공기관을 선택하여 본인부담금 납부(직납)

본인부담금을 납부 하셔야 예약이 완료됩니다.

서비스 제공자

  • 「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권 관리에 관한 법률」 제16조 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9조 [별표1]에 따라 등록한 제공기관
  • 서비스 제공인력은 같은 법 시행규칙에 따라 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한 「산모 · 신생아 방문서비스 제공인력 교육과정」을 이수한

서비스 이용 절차

업무절차 처리내용 업무주제
신청서 작성, 제출 서비스 신청 (국민행복 카드 미소지자의 경우 카드 신청 병행) 신청인 → 시,군,구(보건소)
신청서 입력
(행복e음)
'행복e음'에 서비스 신청 정보 입력
(국민행복카드 미소지자의 경우 운영카드사 중 희망카드 신청정보 입력 추가)
시,군,구(보건소)
카드 발급 정보 전송
(행복e음)
'행복e음'에 서비스 자격 결정 정보 전송(시,군,구(보건소) → 사회보장정보원, 카드사)
국민행복카드 미소지자의 경우 운영카드사 중 희망카드 신청정보 입력 추가
시,군,구(보건소)
서비스 신청접수 및 계약, 서비스 실시
  • 서비스 이용 신청 접수
  • 서비스 대상자는 제공기관이 본인부담금 납부
  • 서비스 제공기관과 서비스 이용자간 계약서 작성
서비스 이용자 → 제공기관
서비스 실시
  • 제공인력은 서비스 제공전 바우처 잔량 조회
  • 서비스 이용자(산모)는 매일 서비스 이용 후, 국민행복카드를 제공인력에게 전달
    신용카드는 사용등록 후 사용
  • 제공인력은 결제단말기에 국민행복카드 및 제공인력카드를 접촉하여 결제
    스마트폰 APP결제는 제공인력 카드 비접촉
    국민행복카드에 동글이 결제폰 결제불가
제공인력, 서비스 이용자

서비스 이용시 유의사항

  • 서비스 도중 서비스 제공기관 변경 불가(단, 제공기관의 귀책사유로 서비스가 중단될 경우는 가능)
  • 동일 서비스 제공기관 내에서 제공하는 구체적 서비스 내용 및 일정 변경을 원하는 경우는 이용자와 제공기관과 협의를 통해 결정
  • 관리사의 일시적 질병이나 귀책사유 등 불가피한 경우 교체를 요청할 수 있으나 바로 충원되지 않을 수 있음
    (서비스 제공기관 및 관리사의 교체는 최소 7일 전 요청해야 가능)
  • 이용자 불만족으로 인한 관리사(제공인력)교체 요청 시 제공기관은 이용자와의 상담을 통해 교체
  • 제공인력이 특정 이용자를 거부하는 경우, 제공기관은 이용자와의 상담을 거쳐 제공인력을 변경할 수 있음
  • 개인영상정보보호법에 따라서 사생활 보호 차원에서 CCTV녹화시 관리사에게 정확한 고지 안내 부탁드립니다

서비스 중단(계약해지)

  • 대상자 별로 정해진 바우처를(서비스 제공기간) 다 채우지 않고, 중도에 서비스를 중단하는 것은 도우미의 근무태만이나 감염, 안전사고 등 불가피한 경우에만 인정
    (해약 통지는 3일 전에 해야 함)
  • 단, 제공기관이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을 지속할 수 없는 부득이한 사유가 발생하여 산모에게 통지할 경우에도 해약의 통지는 3일 전에 이루어져야 함
    (서비스 계약서에 반영)

서비스 중단(계약해지)시 정산방법

  •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한 일일 단가에 의해 서비스 비용 정산 및 본인부담금 환급 실시
  • 서비스 개시일로부터 3일 이내에 서비스 중단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서비스 계획, 준비에 소요되는 기본경비를 감안하여, 최소 3일은 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간주하고 나머지 금액만 정산 및 환급함
    (서비스 계약서에 반영)
바우처 이용요금 (본인부담금)
구분 서비스기간 및 총금액 본인부담금
태아유형 출산순위 소득유형 단축 표준 연장 단축 표준 연장
단태아 첫째아 A-가-① 5일
(688,000원)
10일
(1,376,000원)
15일
(2,064,000원)
68,000원 276,000원 620,000원
A-통합-① 151,000원 427,000원 826,000원
A-라-① 255,000원 647,000원 1,073,000원
둘째아 A-가-② 10일
(1,376,000원)
15일
(2,064,000원)
20일
(2,752,000원)
110,000원 372,000원 771,000원
A-통합-② 276,000원 620,000원 1,073,000원
A-라-② 482,000원 928,000원 1,376,000원
셋째아 A-가-③ 10일
(1,376,000원)
15일
(2,064,000원)
20일
(2,752,000원)
83,000원 331,000원 716,000원
A-통합-③ 248,000원 599,000원 1,045,000원
A-라-③ 454,000원 888,000원 1,321,000원
쌍태아
(중증+단태아)
인력1명 B-가-① 10일
(1,720,000원)
15일
(2,580,000원)
20일
(3,440,000원)
69,000원 361,000원 826,000원
B-통합-① 241,000원 645,000원 1,135,000원
B-라-① 516,000원 1,057,000원 1,583,000원
인력2명 B-가-② 10일
(2,656,000원)
15일
(3,984,000원)
20일
(5,312,000원)
215,000원 730,000원 1,293,000원
B-통합-② 440,000원 1,017,000원 1,637,000원
B-라-② 776,000원 1,447,000원 2,153,000원
삼태아
(중증+쌍태아)
인력2명 C-가-① 15일
(5,160,000원)
25일
(8,600,000원)
40일
(13,760,000원)
104,000원 860,000원 2,476,000원
C-통합-① 515,000원 1,719,000원 3,440,000원
C-라-① 1,186,000원 2,666,000원 4,816,000원
인력3명 C-가-② 15일
(5,976,000원)
25일
(9,960,000원)
40일
(15,936,000원)
120,000원 996,000원 2,868,000원
C-통합-② 597,000원 1,991,000원 3,984,000원
C-라-② 1,374,000원 3,088,000원 5,578,000원
사태아
(중증+삼태아 이상)
인력2명 D-가-① 15일
(5,568,000원)
25일
(9,280,000원)
40일
(14,848,000원)
112,000원 928,000원 2,672,000원
D-통합-① 556,000원 1,855,000원 3,712,000원
D-라-① 1,280,000원 2,877,000원 5,197,000원
인력4명 D-가-② 15일
(7,968,000원)
25일
(13,280,000원)
40일
(21,248,000원)
160,000원 1,327,000원 3,824,000원
D-통합-② 796,000원 2,655,000원 5,312,000원
D-라-② 1,832,000원 4,117,000원 7,437,000원
구분 태아유형 단태아
출산순위 첫째아
소득유형 A-가-① A-통합-① A-라-①
서비스기간 및 총금액 단축 5일
(688,000원)
표준 10일
(1,376,000원)
연장 15일
(2,064,000원)
본인부담금 단축 68,000원 151,000원 255,000원
표준 276,000원 427,000원 647,000원
연장 620,000원 826,000원 1,073,000원
>
구분 태아유형 단태아
출산순위 둘째아
소득유형 A-가-② A-통합-② A-라-②
서비스기간 및 총금액 단축 10일
(1,376,000원)
표준 15일
(2,064,000원)
연장 20일
(2,752,000원)
본인부담금 단축 110,000원 276,000원 482,000원
표준 372,000원 620,000원 928,000원
연장 771,000원 1,073,000원 1,376,000원
구분 태아유형 단태아
출산순위 셋째아
소득유형 A-가-③ A-통합-③ A-라-③
서비스기간 및 총금액 단축 10일
(1,376,000원)
표준 15일
(2,064,000원)
연장 20일
(2,752,000원)
본인부담금 단축 83,000원 248,000원 454,000원
표준 331,000원 599,000원 888,000원
연장 716,000원 1,045,000원 1,321,000원
구분 태아유형 쌍태아(중증+단태아)
출산순위 인력1명
소득유형 B-가-① B-통합-① B-라-①
서비스기간 및 총금액 단축 10일
(1,720,000원)
표준 15일
(2,580,000원)
연장 20일
(3,440,000원)
본인부담금 단축 69,000원 241,000원 516,000원
표준 361,000원 645,000원 1,057,000원
연장 826,000원 1,135,000원 1,583,000원
구분 태아유형 쌍태아(중증+단태아)
출산순위 인력2명
소득유형 B-가-② B-통합-② B-라-②
서비스기간 및 총금액 단축 10일
(2,656,000원)
표준 15일
(3,984,000원)
연장 20일
(5,312,000원)
본인부담금 단축 215,000원 440,000원 1,293,000원
표준 730,000원 1,017,000원 1,447,000원
연장 1,131,000원 1,637,000원 2,153,000원
구분 태아유형 삼태아(중증+쌍태아)
출산순위 인력2명
소득유형 C-가-① C-통합-① C-라-①
서비스기간 및 총금액 단축 15일
(5,160,000원)
표준 25일
(8,600,000원)
연장 40일
(13,760,000원)
본인부담금 단축 104,000원 515,000원 1,186,000원
표준 860,000원 1,719,000원 2,666,000원
연장 2,476,000원 3,440,000원 4,816,000원
구분 태아유형 삼태아(중증+쌍태아)
출산순위 인력3명
소득유형 C-가-② C-통합-② C-라-②
서비스기간 및 총금액 단축 15일
(5,976,000원)
표준 25일
(9,960,000원)
연장 40일
(15,936,000원)
본인부담금 단축 120,000원 597,000원 1,374,000원
표준 996,000원 1,991,000원 3,088,000원
연장 2,868,000원 3,984,000원 5,578,000원
구분 태아유형 사태아(중증+삼태아 이상)
출산순위 인력2명
소득유형 D-가-① D-통합-① D-라-①
서비스기간 및 총금액 단축 15일
(5,568,000원)
표준 25일
(9,280,000원)
연장 40일
(14,848,000원)
본인부담금 단축 112,000원 556,000원 1,280,000원
표준 928,000원 1,855,000원 2,877,000원
연장 2,672,000원 3,712,000원 5,197,000원
구분 태아유형 사태아(중증+삼태아 이상)
출산순위 인력4명
소득유형 D-가-② D-통합-② D-라-②
서비스기간 및 총금액 단축 15일
(7,968,000원)
표준 25일
(13,280,000원)
연장 40일
(21,248,000원)
본인부담금 단축 160,000원 796,000원 1,832,000원
표준 1,327,000원 2,655,000원 4,117,000원
연장 3,824,000원 5,312,000원 7,437,000원
산후관리사 표준 일정표

표준일정표는 출퇴근 산후관리사의 평일 기준 활동을 명시한 것으로 각 가정의 상황에 따라 협의 후 적용됩니다.

표준 일정표

시간 표준일정
오전 근무 내용
  • 앞치마 갈아입기, 손 씻기
  • 기본 서비스 안내
  • 신생아 관련 내용 확인 (수유량, 수면시간, 수유시간 등)
  • 산모 아침식사 준비 및 뒷정리
  • 식사 후 환기 및 간단한 청소
  • 산모, 아기 기초 체온 체크
  • 아기 침상 및 산모, 아기 세탁물 정리
  • 젖병 세척, 소독 (유축기 사용시) 유축시 깔대기 세척 소독
  • 모유 수유 돕기
  • 인공수유 산모는 인공 수유 돕기
    (유축기 사용시) 유축 돕기 및 유축모유 보관
점심 근무 내용
  • 산모 점심식사 준비
  • (수시로) 아기 수면상태 및 기저귀 상태 확인
  • 점심식사 겸 휴식시간
  • 제공인력 점심식사는 산모가 제공함
  • 산모 식사 지원 및 뒷정리 / 식사 후 환기 및 간단한 청소
오후 근무 내용
  • 아기 목욕 및 배꼽소독
  • 아기 배냇저고리 세탁
  • 젖병 세척, 소독
  • (유축기 사용시) 유축기 깔대기 세척,소독
  • 집안 정리 정돈 및 쓰레기 처리
  • 산모 저녁식사 준비 및 상차림
  • 서비스 제공기록지 작성
  • 바우처 결제 및 퇴근준비

*본 일과표는 조리 상황에 따라 시간 및 내용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